자유게시판

  >   참여마당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 /무여스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혜명화 작성일09-05-18 09:19 조회2,212회 댓글2건

본문


다음카페 : 『가장 행복한 공부』

¶ 인과를 믿고 두려워하라 - 한 치도 어김이 없는 인과의 법칙 
                                                                       / 무여 큰스님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인과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인과를 알아라’, ‘인과를 두려워하라’, 
‘인과응보를 믿지 않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등 
인과라는 말을 깊이 새겨서 
부끄럽지 않고 후회 없는 인생이 되게 하시기 바랍니다. 

인과(因果)는 원인과 결과를 말합니다. 
어떠한 사물이나 일에도 일어난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깁니다. 
즉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고, 
결과가 있으면 반드시 그 원인이 있다고 하는 것이 인과의 이치입니다.
 
사람의 행위에 따라 
좋은 업인(業因)을 뿌리면 반드시 좋은 열매가 맺어지고, 
나쁜 업인에는 악의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을 선인선과(善因善果) 악인악과(惡因惡果)라고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속담에는,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하였으며, 
‘덕은 닦는 대로 가고 죄는 지은 대로 간다’고도 하고, 
‘고운 일을 하면 고운 밥을 먹는다’고 하였습니다. 

『화엄경』에 보면 문수보살이 보수보살에게 묻습니다. 

“불자여, 사람은 똑같이 흙·물·불기운·바람기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 같이 나와 내 것이 없는 터인데, 
어찌하여 사람은 어떤 사람은 괴로움을 받고, 어떤 사람은 즐거움을 받으며, 
어떤 사람은 단정하고, 어떤 사람은 추악하며, 
어떤 사람은 현세에서 과보를 받고, 
어떤 사람은 후세에 가서야 과보를 받게 되는 것입니까?” 

이에 보수보살은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그 행위를 따라서 과보의 차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맑은 거울이 그 대(對)하는 사물의 모양에 따라 
비추는 모습이 각기 다른 것과 같습니다. 
업의 본성(本性)도 이와 같아 
밭에 뿌려진 씨가 각기 스스로 느끼지 못하지만 
저절로 싹을 틔우는 것과 같으며, 
환술사(幻術師)가 네거리에서 여러 몸을 나타내는 것과도 같습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또 『열반경』에 보면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선악의 보(報)는 마치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는 것과 같다. 
그리하여 과거, 현재, 미래 삼세의 인과가 휘돌아 없어지는 일이 없으니 
생을 헛되이 보낸다면 후회해도 소용없으리라.”고 하였습니다. 

인과를 부정하면 불자가 아닙니다. 
인과를 부정하는 것은 자기 자신만을 그르치는 것이 아니라 
남까지 악으로 끌고 가므로 큰 죄악을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인과는 인연업과(因緣業果)를 줄인 말입니다. 
인(因)은 원인 즉 씨앗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연(緣)은 연지(緣地) 곧 씨앗이 뿌려지는 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씨앗이라도 밭이 없으면 자랄 수가 없습니다.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연(緣)입니다. 

불가에서는 인연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설법명안론』에는 
‘한 그루의 나무 그늘에 쉬고 한 하천의 물을 쓰는 것도 
전생으로부터의 인연이다’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속담에서는 ‘치마자락만 스쳐도 보통 인연이 아니다’ 하면서
인연의 소중함을 강조합니다. 

씨앗이 촉이 트고 잘 자라려면 토양이 좋아야 하듯이 
연줄이 좋아야 좋은 원인이 성숙하여 훌륭한 열매를 맺고 
빛을 낼 수가 있습니다. 
모든 현상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상호관계를 가짐으로써 
성립되는 것입니다. 
그 어떤 현상도 독립적이며 자존적인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여러분께서도 인연을 중시해서 
사소한 인연도 예사롭게 여기지 마시고 
굳게 맺어서 승화시켜 보시기 바랍니다. 

업(業)은 밭에 뿌린 씨앗이 결실을 볼 때까지 가꾸는 행위와 같습니다. 
그 행위가 선이냐, 악이냐에 따라 
선과가 될 수도 있고 악과가 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인과 연과 업이 모아지면 결과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인과는 연과 업의 과정을 잘 거쳐야만 좋은 결과를 맺게 됩니다. 
사람들은 인과 과만 따지지 연과 업은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과정이 옳아야 과도 제대로 갖출 수가 있습니다. 

인과의 이치는 엄연해서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 것을 인과응보(因果應報)라고 합니다. 
인과의 법칙은 어길 수 없습니다. 
인과는 철칙입니다 



이 이야기는 옛 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은혜를 배반하고 덕을 잊다가 과보를 받은 좋은 예입니다. 
이렇듯 분명한 것이 인과응보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어찌 두려워하고 무서워하지 않겠습니까. 



이렇듯 어김이 없는 것이 인과의 법칙입니다. 
그리하여 『법구경(法句經)』에서 말씀하시기를 
“설사 백천 겁을 지날지라도 지은 업은 없어지지 아니하고, 
인연이 모여 만날 때에는 많은 과보를 돌려받느니라.” 하였습니다. 

인과는 바로 나타나는 수도 있지만 
몇 달 후 또는 몇 년 후에 나타나기도 하고, 
심지어는 몇 생 후에 또는 몇 겁 후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당장 과보를 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세세생생(世世生生) 언젠가는 
반드시 응보가 있게 될 것입니다. 

살다 보면 흔히 신세타령 팔자타령을 합니다. 
‘아이구 내 팔자야!’, ‘이놈의 신세, 개보다 못한 내 신세야!’ 하며 
땅을 치고 대성통곡(大聲痛哭)하기도 합니다. 
팔자나 신세는 자기가 지은 인과의 응보입니다. 
인과는 누구에 의해 받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업(業)을 만들어서 얻는 것이고, 
스스로 지어서 스스로 받는 것입니다. 
자업자득(自業自得)이요 자작자수(自作自受)한 것이 바로 오늘의 나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만 가지 업은 스스로 지어서 받는다’고 하시면서 
‘만약 전생에 인과를 묻는 자가 있거든 
동서고금(東西古今)의 현인달사(賢人達士)를 보라. 
그들은 전생에 복을 지었기 때문에 현인이 되고 달사가 되었느니라.’ 하셨습니다. 

남보다 성공하는 것도, 출세하는 것도 
우연히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만한 복을 짓고 덕을 쌓았기 때문입니다. 

부처님도 세세생생 원력을 세워 남다른 보살행을 하였기에 
부처가 될 수 있었습니다.

 

 

댓글목록

혜안등님의 댓글

혜안등 작성일

귀한 법문 감사드립니다.

이제 축서사홈에서만 뵐 수 있겠네요.
서운하지만 큰스님의 숙제가 있어서 사이버공간에서나마 늘 만날 수 있어서 아쉬운 마음을
달랠 수 있겠네요.
날마다 좋은 날들 되세요.

보현수님의 댓글

보현수 작성일

혜명화 보살님
축서사를 떠나셨다기에 섭섭했는데
축서사 홈에서 라도 뵙 수 있다니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