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밀합창단

도란지대방

릴게임 공략법 2.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페이지 정보

작성자 뇌강지운 작성일25-10-01 02:54 조회5회 댓글0건

본문

릴게임 공략법 45.rch529.top 바로가기 오션파라다이스3



무료백경릴게임추천릴게임황금성 사이트

릴게임 공략법 73.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18.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8.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2.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28.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80.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68.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37.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33.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릴게임 공략법 53.rch529.top 오션파라다이스3



황금성연타 바다 이야기 다운 사이트추천 온라인릴게임 야마토온라인주소 사다리게임주소 온라인릴게임 올벳매거진 온라인빠찡고 777 잭팟 강원랜드 슬롯머신 하는법 일본 야마토 게임 피망로우바둑이 뽀빠이 릴게임 바다이야기 pc버전 다운 바다이야기7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일본 파칭코 도그하우스 하는법 오션슬롯 주소 슬롯머신 기계 구입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황금성 다운 릴게임보물섬 알라딘예시 모바일황금성 알라딘게임잭팟 백경예시 릴게임뜻 슬롯머신 판매 중고 릴게임 백경 강원랜드 슬롯 잘 터지는 기계 일본빠찡꼬 꽁머니릴게임 메이저릴게임사이트 야마토하는곳 인터넷신천지 카카오 야마토 먹튀 바다이야기 하는법 야마토 황금성다운로드 야마토게임하기 빠찡코 하는 방법 777 무료 슬롯 머신 릴게임사이다 다빈치무료릴게임 일본야마토 바다이야기 꽁머니 릴게임 공략법 고전릴게임 백경 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하는법 신천지게임사이트 황금성게임장 황금성갈갈이 소액 슬롯 추천 실시간바둑이 신천기릴게임 슬롯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조작 야마토게임 무료 다운 받기 일본빠징고 무료 슬롯 메타 성인오락게임 프라그마틱 무료 오션슬롯먹튀 바다이야기 apk 프라그마틱 무료 무료슬롯머신 바다이야기 꽁 머니 환전 인터넷릴게임 황금성오락실 신천지다운로드 인터넷야마토릴게임 황금성제주도 황금성슬롯 씨엔조이게임 무료슬롯머신 무료충전현금게임 신천지3.0 신천기릴게임 카카오바다이야기 황금성슬롯 오션파라다이스게임하는법 알라딘릴게임 파칭코 최신인터넷게임 바다이야기슬롯 황금성온라인게임 인터넷오션게임 백경게임 하는곳주소 야마토게임후기 바다이야기2 강시 손오공 게임 황금성게임앱 릴게임정글북 황금성게임다운로드후기 10원야 마토 성인오락게임 온라인신천지 야마토 무료 게임 카카오야마토 모바일게임 릴게임 다운로드 오션파라다이스동영상 오락실릴게임 릴게임 황금성릴게임 신천지사이트 야마토5게임방법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체리마스터 pc용 알라딘설명 릴게임이벤트 온라인릴게임 릴게임사이트 검증완료릴게임 슬롯나라 야마토게임장 바다이야기apk 성인놀이터 강원랜드 슬롯 잘 터지는 기계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슬롯 무료스핀 경향신문 여성 서사 아카이브 플랫이 다섯번째 ‘입주자 프로젝트- 섭식장애 마주하기’를 시작합니다.
식사나 간식 등 ‘먹는 행위’를 통제하기 어렵다고 느낀 적, 한번쯤은 있지 않으신가요? 섭식장애는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니라, 정신적 문제로 인해 ‘먹는 행위’의 통제에 어려움을 겪는 질환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섭식장애 경험 당사자인 박지니 작가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습니다. 3회는 ‘섭식장애’를 다룬 연극 <마른여자들>의 박주영 연출가와 이세영, 황미영 배우 인터뷰입니다.
[플랫 입주자프로젝트 - 섭식장애 마주하기] ② 잠수함 속의 토끼, 여자아이들

- 글 싣는 순서
○①섭식장애라는 가장 현대적 고통
증권교실
○②잠수함 속의 토끼, 여자아이들
●③그 배우들의 원칙 “마르지 마시오”
○④플랫이 마주한 섭식장애


의 배우 이세영, 황미영, 박주영 연출가(왼쪽부터)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cla유망주추천
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1322zxjx.jpg" data-org-width="1100" dmcf-mid="5t5midsdS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KINDEX삼성그룹EW 주식
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1322zxjx.jpg" width="658">

연극 <마른 여자들>의 배우 이세영, 황미영, 박주영 연출가(왼쪽부터)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채권형펀드
산아트센터에서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 절대로 마르지 마시오 ☆” 섭식장애 중 하나인 거식증을 정면으로 다른 연극 <마른 여자들> 연습실 한쪽의 화이트보드에는 이런 문구가 크게 쓰여 있다. 거식증은 정신질환이지만 몸으로 드러난다. 먹는 행위를 통제하지 못해 섭식을 극명문제약 주식
도로 줄이다 보면 몸은 마를 수밖에 없다. 거식증에 대한 인식이 ‘마른 몸을 원하는 사람들의 병’으로 납작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몸무게 30㎏대의 거식증 환자를 연기하는 배우는 자기 배역에 맞춰 마른 몸을 만들어야 할까? 배우가 역할에 몰입하기 위해 체중을 증량하거나 감량하는 것은 프로답다고 여겨지고 때로는 홍보에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데도 <마른 여자들> 에 출연한 배우들은 아무도 ‘살을 빼지 않았다’.
경향신문 여성 서사 아카이브 플랫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마른 여자들>의 박주영 연출가와 이세영(릴리 역), 황미영(로즈 역) 배우를 만나 섭식장애를 주제로 한 연극을 만드는 것에 대한 고민과, 어려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을 빼지 않기로 결심한 이유’에 대해 들었다.

아직은 낯선 ‘섭식장애’ 연극을 올리는 이유

“20년간 함께 살던 고양이가 세상을 떠난 후, 3개월 동안 먹고 토하는 행위를 반복했어요. 무서운데도 사람들이 ‘살 빠졌다’고 말해주면 또 좋은 거예요. 그게 너무 이상해서 이런저런 책들을 찾아보다가 (섭식장애에 대해) 알게 됐어요.” 박주영 연출가가 밝힌 <마른 여자들> 각색 계기다. 연극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의 박주영 연출가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 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2616ecdg.jpg" data-org-width="900" dmcf-mid="tm7TcjyjT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2616ecdg.jpg" width="658">

연극 <마른 여자들>의 박주영 연출가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 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원작은 뉴질랜드 출신의 작가 다이애나 클라크가 썼다. 주인공은 섭식장애를 앓는 20대의 쌍둥이 자매 릴리와 로즈다. 책에서 동생 로즈는 거식증을, 언니 릴리는 폭식증을 앓는다. 연극은 로즈의 거식증에 초점을 맞췄다. 로즈가 치료시설에서 ‘마른 여자들’과 생활하는 이야기, 릴리와의 관계를 회복하는 이야기가 중점이 됐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설에는 1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마른 여자들이 등장한다. 박주영 연출가는 주인공 자매 외에 10대 거식증 환자 세라에게 특히 신경을 썼다. 세라는 거식증 환자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진다는 점을 반영한 인물이기도 하다. 시설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세라는 다른 인물들의 돌봄과 보호를 받는 존재지만, 그 돌봄의 정체는 아이러니하게도 ‘더 마르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곳에서 여자들은 함께 마르고, 함께 죽어간다. 여자들은 아무것도 통제할 수 없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통제할 수 있는 자신의 몸을 통제한다. 연극은 시설에서 삶을 유보하고 있는 로즈가 다시 살아가기 위해 자신을 놓을 수 있는지를 묻는다.

마르지 마시오, 체중이 줄면 벌금 50만원


연습실 한켠에 써 있는 ‘절대로 마르지 마시오’ 공지, 남경식 무대디자이너가가 그렸다. 황미영 배우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3907fajd.jpg" data-org-width="800" dmcf-mid="5neykAWAh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3907fajd.jpg" width="658">

<마른 여자들> 연습실 한켠에 써 있는 ‘절대로 마르지 마시오’ 공지, 남경식 무대디자이너가가 그렸다. 황미영 배우 제공


‘마르지 말자’는 원칙은 박 연출가가 주도해 만들었다. 거식증을 다룬 작품에서 연출가는 왜 배우들에게 마르지 말라고 했을까. 그는 “배우가 마른 몸으로 무대에 올라오면 작품을 더 얕게 볼 것 같았다”고 말했다. “왜 마르고 싶은 건지, 왜 저렇게 마른 건지, 속에 있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외형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어요. 배우들은 당연히 외적인 것에 대해서도 노력하고 싶어하지만 이건 굉장히 위험한 일이라 생각해요. 살인자 역할을 한다고 사람을 죽여봐야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대신 (섭식장애 환자들이) 어떤 정서, 어떤 내면을 가지고 있기에 이런 선택을 한 것인지,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보여주려 했어요.” 박 연출가의 말이다.
박 연출가는 첫 연습 전이 가장 깊은 고민을 한 시기였다고 말한다. “(정서적) 안전을 위한 ‘룰을 정해야 하는 건 아닐까’하는 고민도 했어요. ‘외모나 몸에 대한 이야기, 평가가 담긴 말들을 조심해서 하자’는 규칙을 정하려다 오히려 불편할 수 있겠다는 결론이 났죠.” 박 연출가는 규칙을 정하는 대신 구체적인 ‘디렉션(지시)’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연출가로서) ‘이렇게 보인다’는 이야기를 해야 장면을 만들어 갈 수 있는데 ‘몸을 좀 더 구겨볼까’라고 신체를 언급하는 대신, ‘이 장면에서 인물이 이렇게 보였으면 좋겠다’고 말해요. (이런 디렉션이) 익숙하지 않아서 시간이 더 오래 걸렸죠.”
연출가와 배우들의 고민은 작품 안팎을 오갔다. 로즈 역을 맡은 이세영은 “연출가님이 처음부터 ‘마르지 말라. 이 상태를 유지하라’고 했기 때문에 외형보다는 로즈가 왜 그랬는지가 관심사였다. (왜 로즈가 먹지 않게 되었는지) 이유를 알기 위해 이것저것 자료를 찾았다”고 했다. 그의 말처럼 배우들은 ‘섭식장애가 어떠한 병인지’를 알기 위해 거식증과 관련된 책을 읽고 다큐멘터리를 봤다. 첫 대본 리딩 연습에는 거식증 당사자인 박지니 작가를 초대해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연출가와 배우들은 박지니 작가를 만나면서 조심스러웠다고 했지만, 박 작가는 무척 즐거웠다고 했다.)

의 이세영 배우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 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5248gahy.jpg" data-org-width="900" dmcf-mid="t7A3lC0CC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5248gahy.jpg" width="658">

연극 <마른 여자들>의 이세영 배우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 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연습 첫날 배우들은 전신사진을 찍었다. ‘공연 후 체중이 줄면 벌금 50만원’이라는 규칙도 함께 만들었다. 대부분의 연습에서 식사는 각자 자유롭게 하는 분위기지만 <마른 여자들> 배우들은 다 함께 도시락을 싸 와 함께 밥을 먹었다. 이세영은 “일부러 정한 원칙은 아니지만 한 명 두 명 도시락을 싸 오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런 분위기가 됐다”고 말한다. 황미영은 “그러다 결국 ‘그렇다고 살 찌라는 건 아니었다’는 공지가 하나 더 붙었다”라고 말하며 웃었다.

연극이 아니었다면, 우리는 ‘마르지 않을 수 있었을까’

박 연출가와 배우들이 ‘마르지 말자’는 원칙을 세우고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연극이 허용하는 상상력 덕분이다. “연극이어서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영화였다면 리얼리티가 필요할 것이고, 배우가 몸을 말리거나 CG를 써서라도 보이는 것에 신경을 썼겠죠. <투 더 본(To The Born)>이라는 영화도 거식증을 다루는데 환자로 등장하는 여배우가 몸을 말렸어요. 모방을 조장한다는 평가가 많아서 굉장히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었죠.”
섭식장애 당사자인 박지니 작가는 많은 여성들이 섭식장애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미끄러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섭식장애라는 싱크홀 가까이에 아슬아슬한 상태로 거주하고 있다. 섭식장애는 우연히 여성에게서만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여자아이들을 중심에 세워두고 무너뜨린 결과다.” 직업적으로 ‘몸’과 ‘외형’에 더 많은 신경쓸 수밖에 없는 여성 배우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이세영은 담담히 말했다. “사실은 ‘마르지 말자’는 이야기를 했지만, 제가 앞뒤가 다른 행동을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이 공연은 그럴지언정, 다른 공연에서 연출가가 배에 ‘왕(王)’자를 만들어 달라, 작품에서 필요하다고 하면 ‘넵’ 하겠죠. ‘거부해야 하는 건가?’라는 물음표가 떠올라요”
두 배우는 여성들이 자신을 학대하면서까지 특정한 몸을 욕망하게 되는 배경으로 미디어와 사회의 시선을 꼽았다. 이세영은 “마를수록 예쁘다는 포커스가 있다. 마를수록 화면에 잘 나온다는 이야기를 계속 듣게 된다”며 “제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그래서 사실 부끄러워진다”고 말했다.

의 황미영 배우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 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6636xkrb.jpg" data-org-width="900" dmcf-mid="30bERxDxT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6636xkrb.jpg" width="658">

연극 <마른 여자들>의 황미영 배우가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 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황미영은 질문에 대한 답인지는 모르겠다며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줬다. “저는 4.3kg 우량아로 태어나 한 번도 말랐던 적이 없어요. 그런데 해외에선 아무도 저를 뚱뚱하다고 보지 않으니까 오히려 회의감이 들 때가 있어요. 저도 외모에 대한 콤플렉스가 있어서 제가 <마른 여자들>이라는 작품을 한다고 말하면, 누군가 ‘코미디야?’라고 되물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요.” 그러면서도 그는 “고등학교에서 연극부 활동을 할 때부터 약간 멋있는 척을 했다”고 말했다. “덩치 큰 여자들이 항상 몸을 숙이고 무채색의 옷을 입고, 자신감 없어 보이는데, 저는 용기를 주고 싶었어요. 그 마음은 변함이 없어요. 제가 자존감이 높은 건 아니지만, 그래도 제 몸을 사랑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외모를 지우고 ‘관계’와 ‘연출’에 집중하기

섭식장애에서 외모를 지운 연극은 ‘관계’에 집중한다. “섭식장애는 가정이나 사회와 깊게 얽혀 있는데, 연극에서는 관계를 보여주기로 했다”는 것이 박 연출가의 설명이다. “친구와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에서 어떤 일이 있었길래 (섭식장애를 유발하는) 씨앗이 심겼는지, 아무래도 많은 이야기를 다 담을 수는 없기에 ‘또래 집단에서의 닮고자 하는 욕망’을 보여주는 장면이 들어가요. 이 장면이 관객들에게도 확실히 보였으면 합니다.”

연습장면, 두산아트센터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7971ggdv.jpg" data-org-width="900" dmcf-mid="FEdsnJOJh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khan/20250911070157971ggdv.jpg" width="658">

연극 <마른 여자들> 연습장면, 두산아트센터 제공


<마른 여자들>은 ‘이들이 왜 섭식장애를 겪게 되었는가’에 주목하지만 우울하지만은 않다. 기괴한 놀이동산에 온 것처럼 보일 정도로 시설의 마른 여자들은 오히려 에너제틱하게 움직이고, 즐기며, 활기찬 순간들을 보낸다. 쿵쾅대거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한다. 여자들은 뭉치고 흩어지기를 반복한다. 박 연출가가 ‘외모’ 대신 ‘연출’로 무대를 어떻게 감각적으로 꾸릴지 고민한 결과다.
누가 이 연극을 봤으면 좋겠냐는 질문에 박 연출가는 “많은 분들”이라고 답했다. “일단 섭식장애라는 단어가 낯설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고 가시면 좋겠어요. 모두가 같은 경험을 하지는 못하겠지만, 각자가 지금 자신의 삶의 순간에 맞는 이해와 경험을 조금씩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세영 은 “저희도 섭식장애에 대해 처음 알았을 때 깜짝 놀랐다. 좋은 어둠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황미영은 “섭식장애의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는데, 섭식장애를 앓고 있는 친구들이 조금이나마 즐겁고 편한 상태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말을 남겼다. 연극은 두산아트센터 9월 10일~28일.
▼ 이아름 기자 areumlee@khan.co.kr



플랫팀과 두산아트센터가 연극 <마른 여자들> 관람 이벤트를 준비했습니다. 플랫 인스타그램의 <마른 여자들> 게시물에 기대평을 남겨주신 분 중 3분을 추첨해 관람 티켓(9월 20일 토요일 오후 3시 공연, 1인 2매 제공)을 드립니다.
■ 응모기간 : 2025년 9월 11일(목) - 15일(월) 오전 ■ 당첨자 발표 : 9월15일 (월) 오후 *당첨자께는 개별 연락 드릴 예정입니다.
▶ 플랫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https://www.instagram.com/flatflat38

플랫은 이 프로젝트가 ‘섭식’의 어려움을 함께 이야기해보고 마주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자신의 ‘먹는 행위’와 관련해 남기고 싶은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구글 드라이브에 의견을 남겨주세요.

‘먹기 어려웠던 경험’,‘먹기를 멈추지 못했던 경험’,‘머뭇거린 경험’, ‘섭식으로 인한 신체의 불편했던 경험’등 무엇이든 좋습니다. 경향신문 여성 서사 아카이브 플랫이 기록하겠습니다.

▶ 플랫 입주자 프로젝트 - ‘섭식장애 마주보기’ 의견 남기기
( https://forms.gle/xubmcoaFVKR5ZMhu5 )
이아름 기자 areumlee@kyunghya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