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막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방나종림 작성일25-09-20 04:33 조회32회 댓글0건본문
웹툰 ‘재혼 황후’. 네이버웹툰 제공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재혼 황후’부터 ‘하렘의 남자들’까지 그동안 실사화가 어렵다고 여겨져온 로판(로맨스 판타지) 장르의 웹소설·웹툰이 드라마로 만들어지고 있다. 로판 장르는 주로 중세 유럽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데, 이를 한국 배우들이 이질감 없이 구현해낼지 관심이 쏠린다.
동명의 인기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재혼 황후’는 내년 디즈니플러스에서 방영 예정이다. 동대제국의 완벽한 황후 나비에가 도망 노예 라스타에게 빠진 황제 소비에슈로부터 이혼을 통보받고, 이를 수락하는 대신 서왕국의 왕자 하인리와의 재ITX시큐리티 주식
혼 허가를 요구하면서 벌어지는 로맨스 판타지 대서사극이다. 나비에 역에 신민아, 소비에슈 역에 주지훈이 캐스팅됐고, 라스타는 이세영, 하인리는 이종석이 연기한다.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피노키오’, ‘너의 목소리가 들려’ 등을 연출한 조수원 피디(PD)가 감독을 맡았고, 극본은 ‘경이로운 소문’의 여지나 작가와 현충열 작가가 썼다. 제작은 네이버웹툰오스템 주식
의 영상 제작 자회사 스튜디오엔(N)이 맡는다.
드라마 ‘재혼 황후’에 출연하는 배우들. 왼쪽부터 이종석, 신민아, 이세영, 주지훈.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웹소설 ‘재혼 황후’는 국내 작가 알파타르트의 작릴게임임대
품으로, 2018년 연재를 시작한 이후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웹툰과 오디오 드라마로도 만들어졌다. 웹툰은 글로벌 누적 조회수 26억회를 기록하며 네이버웹툰의 대표적인 흥행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런 인기 덕분에 드라마 제작 소식이 들려올 때부터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며 팬들의 가상 캐스팅이 이뤄지기도 했다. 드라마는 이렇게 인기를 끈 원작의 줄거리와 세계관을티케이케미칼 주식
구현하기 위해 유럽에서 촬영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알파타르트 작가의 또 다른 인기 웹소설 ‘하렘의 남자들’도 드라마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타리움제국의 여황제 라틸이 황제 자리를 지키기 위해 남자 후궁들을 들이는 내용의 로맨스 판타지물이다. 남자 황제가 여자 후궁을 들이는 기존 클리셰를 거꾸로 뒤집는 설정과 여자 주인공의 당당한 성우리들제약 주식
격, 남자 주인공들의 다채로운 매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여황제 라틸 역으로 수지가 출연을 제안받았고 신승호, 이수혁 등도 출연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씨제이이엔엠(CJ ENM) 자회사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을 맡아 내년 초 촬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웹툰 ‘하렘의 남자들’. 네이버웹툰 제공
앞서 지난 6월11일부터 7월17일까지 한국방송(KBS)에서 방영한 드라마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역시 황도톨 작가가 쓴 동명의 로판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평범한 여대생의 영혼이 로맨스 소설 속 단역에게 깃들게 되고, 그 단역이 소설의 남자 주인공과 하룻밤을 보내며 펼쳐지는 이야기다. 다만 드라마는 중세 유럽의 가상 공간이라는 원작의 배경을 그대로 살리는 대신 우리 전통 사극으로 각색해 어색함을 줄였다. 드라마의 배경은 조선시대로 바뀌었고, 주인공 이름도 리플리에서 차선책(서현)으로, 제로니스에서 경성군 이번(옥택연)으로 바뀌었다.
로판 장르는 주로 중세 유럽의 가상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판타지 요소를 곁들인다.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주인공의 신분도 공작, 대공, 황태자, 황제, 공주, 기사 등이고, 이름도 유럽식이다.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처럼 우리 전통 사극으로 각색하는 방법도 있지만, 원작의 설정을 그대로 살려 국내 배우가 연기할 경우 시청자들이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그동안 실사화가 쉽게 이뤄지지 못한 이유이기도 하다.
드라마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포스터. 한국방송 제공
그럼에도 드라마화 도전이 이뤄지는 이유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로맨스 장르가 가진 파급력이 커진데다 드라마 제작 역량 또한 과거에 비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윤석진 충남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로맨스 장르가 강세를 보이고 있고, 해외 시청자들의 한국 배우들에 대한 선망과 기대 또한 크다”며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 시장을 겨냥해 만드는 작품이라면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또 “공간적 배경의 리얼리티를 살려 구현하는 것도 중요한데, 한국의 특수효과나 특수촬영 기술이 많이 발전한 상태여서 좋은 결과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재혼 황후’부터 ‘하렘의 남자들’까지 그동안 실사화가 어렵다고 여겨져온 로판(로맨스 판타지) 장르의 웹소설·웹툰이 드라마로 만들어지고 있다. 로판 장르는 주로 중세 유럽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데, 이를 한국 배우들이 이질감 없이 구현해낼지 관심이 쏠린다.
동명의 인기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재혼 황후’는 내년 디즈니플러스에서 방영 예정이다. 동대제국의 완벽한 황후 나비에가 도망 노예 라스타에게 빠진 황제 소비에슈로부터 이혼을 통보받고, 이를 수락하는 대신 서왕국의 왕자 하인리와의 재ITX시큐리티 주식
혼 허가를 요구하면서 벌어지는 로맨스 판타지 대서사극이다. 나비에 역에 신민아, 소비에슈 역에 주지훈이 캐스팅됐고, 라스타는 이세영, 하인리는 이종석이 연기한다.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피노키오’, ‘너의 목소리가 들려’ 등을 연출한 조수원 피디(PD)가 감독을 맡았고, 극본은 ‘경이로운 소문’의 여지나 작가와 현충열 작가가 썼다. 제작은 네이버웹툰오스템 주식
의 영상 제작 자회사 스튜디오엔(N)이 맡는다.
드라마 ‘재혼 황후’에 출연하는 배우들. 왼쪽부터 이종석, 신민아, 이세영, 주지훈.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웹소설 ‘재혼 황후’는 국내 작가 알파타르트의 작릴게임임대
품으로, 2018년 연재를 시작한 이후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웹툰과 오디오 드라마로도 만들어졌다. 웹툰은 글로벌 누적 조회수 26억회를 기록하며 네이버웹툰의 대표적인 흥행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런 인기 덕분에 드라마 제작 소식이 들려올 때부터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며 팬들의 가상 캐스팅이 이뤄지기도 했다. 드라마는 이렇게 인기를 끈 원작의 줄거리와 세계관을티케이케미칼 주식
구현하기 위해 유럽에서 촬영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알파타르트 작가의 또 다른 인기 웹소설 ‘하렘의 남자들’도 드라마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타리움제국의 여황제 라틸이 황제 자리를 지키기 위해 남자 후궁들을 들이는 내용의 로맨스 판타지물이다. 남자 황제가 여자 후궁을 들이는 기존 클리셰를 거꾸로 뒤집는 설정과 여자 주인공의 당당한 성우리들제약 주식
격, 남자 주인공들의 다채로운 매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여황제 라틸 역으로 수지가 출연을 제안받았고 신승호, 이수혁 등도 출연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씨제이이엔엠(CJ ENM) 자회사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을 맡아 내년 초 촬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웹툰 ‘하렘의 남자들’. 네이버웹툰 제공
앞서 지난 6월11일부터 7월17일까지 한국방송(KBS)에서 방영한 드라마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역시 황도톨 작가가 쓴 동명의 로판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평범한 여대생의 영혼이 로맨스 소설 속 단역에게 깃들게 되고, 그 단역이 소설의 남자 주인공과 하룻밤을 보내며 펼쳐지는 이야기다. 다만 드라마는 중세 유럽의 가상 공간이라는 원작의 배경을 그대로 살리는 대신 우리 전통 사극으로 각색해 어색함을 줄였다. 드라마의 배경은 조선시대로 바뀌었고, 주인공 이름도 리플리에서 차선책(서현)으로, 제로니스에서 경성군 이번(옥택연)으로 바뀌었다.
로판 장르는 주로 중세 유럽의 가상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판타지 요소를 곁들인다.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주인공의 신분도 공작, 대공, 황태자, 황제, 공주, 기사 등이고, 이름도 유럽식이다.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처럼 우리 전통 사극으로 각색하는 방법도 있지만, 원작의 설정을 그대로 살려 국내 배우가 연기할 경우 시청자들이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그동안 실사화가 쉽게 이뤄지지 못한 이유이기도 하다.
드라마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포스터. 한국방송 제공
그럼에도 드라마화 도전이 이뤄지는 이유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로맨스 장르가 가진 파급력이 커진데다 드라마 제작 역량 또한 과거에 비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윤석진 충남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로맨스 장르가 강세를 보이고 있고, 해외 시청자들의 한국 배우들에 대한 선망과 기대 또한 크다”며 “국내만이 아니라 세계 시장을 겨냥해 만드는 작품이라면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또 “공간적 배경의 리얼리티를 살려 구현하는 것도 중요한데, 한국의 특수효과나 특수촬영 기술이 많이 발전한 상태여서 좋은 결과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