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2인실, 하루 최고 24만원서 8만원대로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짱팔사모 작성일18-07-17 11:13 조회2,053회 댓글0건본문
7월부터 2·3인실 건강보험 적용… 6大 대학병원 평균 64% 싸져
다음 달 1일부터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 등 6개 대형 대학병원의 2인실 병실료(환자 부담금)가 하루 8만2000원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16만~24만원을 냈으나 평균 64.1% 싸지는 셈이다.
특히 42개 대학(상급 종합)병원은 2인실 병실료가 4만~26만원에서 6만~8만원대로 크게 줄어든다.
◇
2·3인실 병실료 절반 수준으로
복지부는 1일 "대학·종합병원의 2·3인실 병실료가 건보에 적용돼 지금보다 병실료가 절반가량 낮아진다"며 "환자들은 건보가 정한 병실료의 30~50%를 내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병원의 2인실은 병실료의 50%, 3인실은 40%를, 종합병원의 2인실은 병실료의 40%, 3인실은 30%만 내게 된다.
지금까지 대학·종합병원의 2·3인실 병실료는 2만~26만원으로 병원마다 천차만별이었고, 전액 환자가 부담했다.
건보가 적용되는 2·3인실은 대학병원 42곳과 종합병원 298곳의 1만5000여 개 병실이다.
병실료가 건보에 적용되면 똑같은 금액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병원마다 간호등급에 따라 병실료가 1만원 내에서 차등이 생긴다.
간호등급은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병상 수를 기준으로 매기는데, 42개 대학병원 중 1등급은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6곳이다. 2등급은 32곳, 3등급은 4곳이다.
병원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학병원의 2인실은 7만3950(2등급)~8만2000원(간호 1등급), 3인실은 4만4370(2등급)~4만8800원(1등급)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병원(19만2000~21만원), 서울아산병원(21만~23만5000원), 삼성서울병원(23만2000~23만9000원) 등 6개 병원(간호 1등급)은 앞으로 모두 8만2000원 수준으로 낮아진다.
간호 2등급인 고려대 구로병원은 20만~26만원에서 7만3950원으로 71.6%나 줄어든다.
종합병원(간호 7등급으로 구분)은 2인실이 3만~5만8900원, 3인실은 2만~3만5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대학병원과 병원 가격 역전 현상
전문가들은 "대학병원 중 병실료가 크게 내려가 수입이 크게 떨어지는 곳은 10개 병원 정도이고, 나머지 병원들은 대부분 하루 병실료가 17만원(건보 가격) 수준이거나 이하로 받아왔기 때문에 큰 손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대학병원의 병실료가 싸지면 '값싼 병실로 옮기기 전쟁'은 완화되지만, 환자들이 대거 대학병원으로 몰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욱이 병원과 의원의 병실은 건보에 적용되지 않는 바람에 병원의 병실료가 대학병원보다 비싸지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해 혼란이 우려된다.
박은철 연세대 의대교수는 "병실료가 싸지면 대학병원마다 입원 경쟁이 치열해져 '입원 대기' 기간이 길어지고, 병원에선 퇴원을 재촉하게 될 것"이라며 "중증환자가 아니면 작은 병원으로 옮기도록 권유해야 하는데 환자들 동의 얻기가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병원급(병상 수30~100개 미만)과 의원급의 병실은 건보에 적용되지 않는 바람에 2인실 병실료가 대학병원의 병실료보다 오히려 비싼 곳이 많아 혼란이 예상된다.
서울의 148개 일반 병원(2인실)의 경우, 하루 병실료가 10만원 넘는 곳이 88곳(60%)이나 된다.
전문가들은 "병실료가 대학병원보다 비싸지면 누가 병원을 이용하려고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연말까지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병원·의원의 병실료도 건보에 적용할지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23&aid=00033773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